갑자기 생계가 막막해졌다면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이 가장 빠른 안전망입니다. 2025년 기준·지원항목·신청 절차를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다산콜 120, 동주민센터 접수)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이란
국가형 긴급복지를 보완해 서울시가 위기 가구에 생계·주거·의료 등 맞춤 지원을 신속하게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소득·재산·금융 기준을 충족하고 위기사유가 확인되면 단기간 내에 지원이 결정됩니다.
지원대상 핵심 기준
-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2025년 인상 반영로 대상 완화). 예: 1인 2,392,013원, 4인 6,097,773원 등.
- 재산: 4억 900만원 이하(서울시 기준).
- 금융재산: 1,000만원 이하.
- 신청 경로: 거주지 동주민센터·구청, 서울시 다산콜센터 120 안내.
어떤 위기사유가 해당되나
- 주소득자 사망·가출·구금 등으로 소득 상실
- 중한 질병·부상, 가정폭력·성폭력, 방임·유기
- 화재 등 주거 곤란, 휴·폐업, 실직으로 소득 상실 등
지원항목·금액 한눈에
| 유형 | 주요 내용 | 지원수준(예시) | 비고 |
|---|---|---|---|
| 생계비 | 최소한의 생계유지비 | 가구원수별 차등(예: 1인 71만3천~ 유사 수준) 자치구 공고에 따름 |
1회 원칙, 필요 시 사례회의 후 1회 추가 가능(생계·의료) |
| 주거비 | 월세 체납 등 주거유지 | 최대 100만원(자치구 예시) | 증빙 필요(체납 내용증명 등) |
| 의료비 | 입원·수술 등 필수 의료비 | 최대 100만원(자치구 예시) | 진단서·중간진료비 계산서 등 |
| 교육·기타 | 교육비·연료비·해산·장제·전기요금 등 | 초 127,900원 / 중 180,000원 / 고 214,000원(수업료·입학금) 연료 150,000원, 해산 700,000원, 장제 800,000원, 전기료 500,000원 이내 |
지자체 예산·지침에 따라 변동 |
금액은 서울시·자치구 지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최신 공고를 확인하세요.
신청절차 타임라인
- 상담: 120 다산콜 또는 동주민센터 연락
- 접수: 동주민센터·구청 방문(대리 신청 가능)
- 현장 확인·소득·재산 조회
- 사례회의(필요 시) 및 지원결정
- 지급·정산 및 사후관리
필요서류 체크리스트
- 공통: 금융정보제공동의서, 개인정보동의서, 소득신고서, 주거지 서류(전·월세 계약서), 통장 사본, 가구원 6개월 거래내역
- 생계비: 위기사유 증빙(실직·폐업·화재 등)
- 의료비: 진단서, 입원확인서, 중간진료비 계산서
- 주거비: 월세 체납 내용증명, 명도소송 판결문 등
자주 묻는 질문
Q. 국가형 긴급복지와 뭐가 다른가요?
A. 서울형은 국가형을 보완해 소득·재산 기준을 더 완화하고, 지역 실정에 맞춘 항목을 신속 지원합니다.
Q. 소득 기준은 매년 달라지나요?
A. 네. 기준 중위소득 변동을 반영해 매년 조정됩니다. 2025년엔 1인·4인 가구 모두 상향됐습니다. :
Q. 어디서 문의·신청하나요?
A. 동주민센터·구청 방문 신청, 다산콜센터(120) 안내를 통해 빠르게 연결됩니다.
신속 승인 팁
- 위기사유 증빙 준비: 실직·폐업·화재·질병 관련 공식서류를 먼저 확보
- 계좌흐름 정리: 최근 3~6개월 입·출금내역 정리, 현금거래 메모
- 주거비 요청 시 체납증빙·계약서 필수, 의료비는 진단서·견적서 선확보
- 담당자 연락처 저장 후 추가 요청 서류 즉시 제출(처리 속도↑)
요약 카드
| 대상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4억 900만원 이하 + 금융재산 1,000만원 이하 |
| 위기사유 | 사망·실직·휴폐업·질병·가정폭력·화재 등 |
| 지원 | 생계·주거·의료·교육·연료·해산·장제·전기요금 |
| 신청 | 동주민센터·구청 방문, 120 다산콜 안내 |
| 유의 | 1회 원칙(생계·의료는 위기 재발 시 1회 추가 가능) |
금액·세부 기준은 자치구 공고로 확정되므로 거주지 안내문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