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좋아하는 공연 티켓을 예매하려다 '매진'이라는 글자를 보고 좌절한 적 있나요?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웃돈을 얹어 되팔리는 이른바 ‘암표 거래’가
이제는 구조적으로 자리 잡았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공개됐습니다.
1. ‘티켓베이’에서 벌어지는 암표 거래의 민낯
2025년 10월 15일, 위메이크뉴스 보도에 따르면
티켓 재판매 플랫폼 ‘티켓베이’에서 상위 1% 판매자가 전체 거래의 41.2%를 차지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개인 간 거래’를 넘어선 사업형 리셀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일부 판매자는 연간 평균 278장의 티켓을 거래하며, 1인당 거래액이 약 6,700만원에 달했습니다.
2. 암표상 아닌 ‘플랫폼’이 시장을 장악?
공연이나 스포츠 티켓이 예매 시작과 동시에 매진되고,
이후 웃돈이 붙은 가격으로 되파는 일은 이제 낯설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 ‘티켓베이’가
상위 판매자 위주의 구조를 방조하고 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습니다.
운영사인 ㈜팀플러스는 “개인 간 거래 중개일 뿐”이라며
법적 책임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국세청 제출 자료는 이를 반박하고 있습니다.
3. 티켓 거래 현황 표로 정리
| 구분 | 수치 | 비율/의미 |
|---|---|---|
| 총 거래 인원 | 44,160명 | 1년 기준 |
| 총 거래 건수 | 298,253건 | - |
| 상위 1% 판매자 | 441명 | 전체 거래의 41.2% 차지 |
| 상위 10% 판매자 | 4,416명 | 전체 거래의 74.7% 차지 |
| 상위 20% 판매자 | 8,832명 | 전체 거래의 83% 차지 |
| 거래금액 1,000만원 초과 | 1,149명 | 사실상 상습 판매자 |
단순한 팬 양도 수준을 넘는 거래량이 명확히 수치로 드러난 것입니다.
4. 법은 있지만 단속은 없다?
현행 ‘공연법’과 ‘국민체육진흥법’은 웃돈을 붙인 티켓 판매를 ‘부정판매’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피해자가 개별적으로 신고하지 않는 한 제재가 어렵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도 온라인 거래 실태를 직접 파악할 수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각지대를 악용한 플랫폼 구조는 팬들에겐 고통이자 분노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5. 실제 피해 사례들
온라인 커뮤니티와 팬카페에는 티켓베이 이용 피해 사례가 꾸준히 올라오고 있습니다.
- “구매했는데 당일 티켓이 취소돼 가족들과 허탕쳤다”
- “가격을 잘못 올렸는데 수수료 떼고 되팔 수도 없었다”
- “피벗번호만 받고 입장권은 받지 못했다”
- “합법이라지만 탈세와 사기성 거래는 누가 책임지나?”
피해자들은 플랫폼 수수료 체계, 책임 회피 방식, 반복적인 판매자 거래 구조 등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하고 있습니다.
Q&A
Q1. 티켓베이 거래는 불법인가요?
A. 플랫폼 측은 자율 중개라 주장하지만, 상습 리셀러의 구조적 방조는 불법성 논란이 있습니다.
Q2. 암표와 리셀의 차이는 뭔가요?
A. 리셀은 공식 양도라 주장되지만,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반복 거래할 경우 암표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Q3. 국회나 정부 대응은?
A. 국회에서는 플랫폼의 책임과 불법 수익 조사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정감사 증인 채택도 진행됐습니다.
Q4. 피해를 입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소비자보호원, 경찰, 공연주최 측에 신고하고 피해 사례를 모아 공론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5. 앞으로 바뀔 가능성은?
A. 플랫폼 책임 강화를 위한 입법 논의가 시작될 수 있으며, 실명제·거래 제한제 등도 검토될 수 있습니다.
결론
티켓베이를 중심으로 한 리셀 플랫폼은 단순한 개인 간 거래를 넘어,
‘사업형 암표상’이 합법을 위장한 채 활동할 수 있는 법적 회색지대가 되었음을 이번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티켓을 구하지 못한 팬들, 손해를 본 소비자들에게 공정한 시스템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지금 이 문제를 바로잡지 않으면, 우리는 더 큰 불신의 티켓을 쥐게 될지도 모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