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미국과 캐나다는 전 세계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찾는 나라입니다. 하지만 두 나라 모두 유학생에게도 세금신고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특히 같은 영어권 국가이지만, 세법과 세금 신고 방식, 공제 항목, 환급 제도에는 큰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본 글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유학 중인 학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신고 제도의 차이점과 유학생으로서 놓치기 쉬운 세금 포인트를 비교해 정리해드립니다.
유학생 세금 신고: 미국 vs 캐나다 기본 차이
미국과 캐나다 모두 유학생에게 세금 신고를 요구하지만, 그 방식과 범위는 국가별 세법 구조에 따라 달라집니다.
미국: 비거주 외국인 세금 모델
- 대부분의 유학생은 F1 비자를 통해 입국하며, 미국 세법상 **비거주 외국인(Non-Resident Alien)**으로 분류됩니다.
- 소득 유무와 관계없이 Form 8843 제출은 필수입니다.
- 소득이 있는 경우, 1040NR(또는 1040NR-EZ) 양식 사용
- 세금 시즌: 매년 1월~4월 15일
캐나다: 레지던시 기반 과세 모델
- 캐나다는 유학생이라도 거주자(Resident) 또는 **비거주자(Non-resident)**로 분류됨
- 체류 기간, 가족 여부, 경제적 연결성 등에 따라 분류 결정
- 대부분의 유학생은 거주자로 간주, 즉 캐나다 시민과 동일하게 세금신고
- T1 일반세금신고서(T1 General) 사용
- 세금 시즌: 매년 1월~4월 30일
핵심 차이:
미국은 비자 기반의 신분 중심 과세,
캐나다는 실질 거주 여부 중심 과세
세금 신고 방식 및 필수 서류 비교
두 나라 모두 유학생의 세금 신고를 위한 기본 서류 체계가 있으며, 이를 정확히 이해해야 신고 누락이나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미국 세금신고 서류
- Form 8843 – 소득 유무와 무관하게 F1 유학생 전원 제출
- Form 1040NR / 1040NR-EZ – 소득이 있는 경우 필수
- W-2, 1042-S – 아르바이트, 장학금 소득 증빙
- ITIN 또는 SSN – 신고용 식별번호
특이사항: 한국 유학생은 **조세조약(Tax Treaty)**에 따라 일부 소득 면세 가능
캐나다 세금신고 서류
- T1 General – 기본 소득세 신고서 (모든 거주자 사용)
- T2202 – 등록 교육기관이 발급하는 학비 영수증
- T4 – 고용주가 발급하는 소득 증명서
- SIN(Social Insurance Number) – 세금 신고용 개인번호
특이사항: 학비, 교재비 등 교육비 공제 가능
유학생도 GST/HST 환급 신청 가능 (연간 저소득자 대상 소비세 환급 프로그램)
미국은 신고 대상 소득 중심,
캐나다는 종합소득 + 공제 항목 중심으로 신고 체계가 구성됩니다.
유학생 세금환급과 공제제도 비교
미국과 캐나다는 모두 세금 환급 제도가 있지만, 공제 대상과 환급 시스템은 완전히 다릅니다.
미국 유학생 세금환급
- 연방세·주세 환급 가능 (과다 원천징수 시)
- FICA 세금 환급 가능 (비자 조건에 따라 면제)
- 조세조약 혜택 활용 시 소득 일부 비과세 처리
- 환급 수단: 수표 또는 은행 계좌로 지급 (2~8주 소요)
✅ 환급 전략
- Sprintax 등 유학생용 소프트웨어 활용
- W-2와 1042-S 꼼꼼히 확인
- Form 8233 또는 W-8BEN 제출로 조세조약 적용
캐나다 유학생 세금환급
- 소득세 납부 후 T1 신고를 통해 환급 가능
- T2202를 통해 등록금 세액공제 적용 가능
- GST/HST 환급 프로그램: 저소득 유학생에게 매분기 지급
- 환급 수단: CRA 계좌 등록 시 은행으로 자동 입금
✅ 환급 전략
- T1 General 신고 시 등록금 전액 공제 항목으로 반영
- 소득 적어도 반드시 신고하여 GST/HST 환급 수령
- 캐나다 시민권자와 동일한 기준으로 Child Benefits 등 일부 복지 신청 가능 (거주 요건 충족 시)
결론
미국과 캐나다는 모두 유학생에게 세금신고 의무를 부과하지만, 과세 방식, 신고서류, 공제 혜택에는 확실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미국은 비자와 신분 중심 신고로 조세조약 혜택을 잘 활용하면 유리하며,
캐나다는 거주 기준 중심 신고로 학비 공제 및 소비세 환급이 가능합니다.
두 나라 모두 신고를 하지 않으면 환급을 받을 수 없고, 향후 비자, 이민, 학자금 지원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정확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당신의 세금을 제대로 신고하고, 유학생만의 환급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